I. 피아제의 생애
쟝 피아제는 1896년 8월 9일 (스위스) 뇌샤텔에서 태어나서 1980년 9월 16일 제네바에서 사망할 때까지 인지이론의 발달에 큰 업적을 남겼다. 피아제는 중세 문학 교수인 아서 피아제와 레베카 잭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뇌샤텔 라틴 고등학교 학생이던 11살 때, 색소결핍증 참새에 대한 짧은 논문을 썼다. 이 논문은, 보통, 60권의 책과 수백편의 논문들로 조성되는 그의 화려한 과학적 이력의 출발로 간주되었다. 또한 연체종물에 대한 논문을 여러편 발표하였고 16세 때에는 이미 유럽 동물학자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게 되었다. 그는 뇌샤텔대학교에서 동물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1918년에 동물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러나 그 직후 생물학 지식과 인식론에 대한 흥미가 결합되어 심리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우선 취리히로 가서 카를 구스타프 융과 오이겐 블로일러 밑에서 공부한 다음, 1919년에 파리의 소르본대학교에서 2년 동안 공부했다. 1920년 그는 파리의 비넷 실험실에서 아동용 지능검사 자료를 만드는 연구과제를 통해 지능검사에서의 아동의 답, 특히 틀린 답이 일관성 있는 유형을 나타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피아제는 1923년, 그는 발렌타인 샤트니와 결혼하여 1925년 첫딸 쟈클린 출생 후부터 뤼시엔, 로랑, 세 아이를 가졌고, 자기 자녀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인지적 행동에 관한 본격적인 관찰에 들어갔다. 1940년대부터는 아동의 수학적, 과학적 개념 이해에 초점을 둔 연구를 주로 하였으며, 1955년국제 발생적 인식론 센터를 창립했고 그가 생을 마칠 때까지 연구를 계속 하였다.
(1)인지발달의 개념
인간의 지적 능력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되어 환경에 더 잘 적응되도록 하는 과정과 변화의 양상을 말한다.
Ⅱ .인지구성요소
피아제는 인식의 근원이 유아의 생물학적 능력에 있다고 가정하였다. 생물학을 전공한 피아제는 큰 호수에 있던 연체동물을 작은 연못으로 옮겼을 때 환경의
I. 피아제의 생애
(1)인지발달의 개념
II. 인지의 구성요소
1. 도식(Schema)
2. 조직화(Organization)
3. 동화(Assimilation)
4. 조절(Accommodation)
5. 적응(Adaptation)
6. 평형화(Equilibrium)
III. 인지발달 단계
1. 감각 운동기 / 0 ~ 2세
(1)반사 활동기/출생~1개월
(2)일차 순환반응/1~4개월
(3)이차 순환반응/4~8개월
(4)이차 도식들의 반응/8~12개월
(5)삼차 순환 반응/12~18개월
(6)상징적 표상/ 18~24개월
2. 전조작기 / 2 ~ 7세
(1)전 개념기(2세~4세)
(2)직관적 사고기(4세~7세)
3.구체적 조작기 / 7세 ~ 성인기
4. 형식적 조작기
(1)가설-연역적 사고
(2)조합적 사고
IV. 인지발달 단계에 따른 자아중심성의 변화
1. 감각운동기의 자아중심성
2. 전조작기의 자아중심성
3. 구체적 조작기의 자아중심성
4. 형식적 조작기의 자아중심성
Ⅴ.피아제 이론의 한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