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방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교육과사회학)

돈내코 2009. 6. 11. 20:59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제1단계:감각동작기(0~2세)--신체에 있는 오감각에 의해

        사물을 지각하는 시기

 1.언어가 없기 때문에 사물에 대한 단어가 없음

   어린이가 직접다루고 있는 사물이 아닌 경우 그 사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2.이시기의 어린이는 자기 중심적이기 때문에 모든 것을

   자기중심적으로 보게되며 자신의 심리적 세계만 존재

 3.원거리 목적믈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기 시작하며 아직

   목적과수단은 식별하지 못하나 원인과결과를 식별할수

   있는 지적능력이 시작됨

 4.여러가지 단순경험에 의하여 평가능력의 기초가 이루어진다

 5.산발적으로 나타나는 동작적인 반응이 하나의 통일된

   계열성있는 형태를 이루기 시작한다

 6.분산된 여러가지 경험이 모아져서 하나의 통일된도식 즉

   쉐마를 형성한다

 7.사전및 사후라는 경험이 시간개념을 형성하는 기초이루어짐

 8.표상의 개념이 시작되고 특정한 자극이 어떤 전체적인

   행동의부분임을 알게 된다

 9.대상항구성(어떤 물체와 같은 대상이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그 존재를 인지하는것을 의미)의 개념이 발달하기 시작

제2단계:전조작기(2~7세) --머리속으로 조직적으로 사고하기는

        힘든 시기이지만 감각이나 동작에 의존하는 것이 줄어

        드는 단계

 1.사물의 이름을 알게되고 단일차원에서 사물을 구분 감각동작적인

   행동도 정교화 된다

 2.언어의 발달--의사표현을 감각동작적인 방법에 의존하던것을

   언어로 대치하기 시작한다

 3.사물의 변화에 대해 추리하고 판단한다

 4.언어를 사용하여 자기 자신의 생각을 비교적 정확하게 표현

 5.보존성의 개념이 없음-정신적인 사고의 조작이 가능하지 못함

제3단계:구체적 조작기(7~11세)--눈에 보이는 것에 한해서만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단계

 1.논리적추리를 할수있게 된다-관찰한 사실에만 국한

 2.자기중심 약해지고 다른사람을 의식하는일도 하게된다

   언어도 사회화

 3.사물이 여러 가지로보일수 있다는 것을이해하게됨

 4.일정한 분류체계를 가지고 사물을 분류-동물식물개념이해

 5.귀납적사고방식에서 연역적사고방식으로전환

 6. 사물의 보존성 개념 나타남

제4단계:형식적 조작기(11~15세)--구체적인 사건에 입각한 사고에서

        벗어나 추상적 논리적 사고를 하는 단계

 1. 지적문제에 대 접근행동이 보다 조직화 된다

 2.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상황을 넘어서는 문제를 다룰수 있게됨

 3.평면적 사고중심에서 벗어나 종축적인 사고를 할수있게 됨

 4.어떤사물이나 현상을 하나의 관점에서만 보지않고

   여러관점에서 볼수 있는 사고능력

 5.추상적 사고능력발달 추상적인 문제해결 조합적 사고능력이 가능